달걀 공급 안정? 닭들의 복지는 어디로?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 식탁의 소중한 친구, 달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최근 정부가 달걀 공급을 안정시키기 위해 산란계 사육 규제를 완화한다고 발표했는데요, 이게 과연 좋은 소식일까요? 동물복지 단체들은 “이게 무슨 소리냐!”며 반발하고 있답니다. 그럼, 이 상황을 유머러스하게 풀어볼까요?

먼저, 정부의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산란계 농가의 사육 면적을 늘리기로 했다고 해요. 현재는 닭 한 마리당 0.05㎡의 공간에서 살고 있는데, 이걸 0.075㎡로 늘리겠다는 거죠. 그런데 이 시행 시점을 2027년까지 2년이나 미뤘다는 사실! 마치 “내일 할 일을 오늘로 미루는” 그런 느낌이죠? 그리고 케이지의 층수도 9단에서 12단으로 늘리겠다고 하니, 닭들이 “우와, 이제는 고층 아파트에 살게 됐네!”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동물권 단체들은 이 소식에 대해 “이게 무슨 동물복지냐!”며 반발하고 있어요. 동물권행동 카라는 “이렇게 유예기간을 늘리고 케이지 층수를 늘리는 건 동물복지 향상과는 정반대”라고 비판했답니다. 닭들이 더 좁은 공간에서 더 많은 친구들과 함께 살아야 한다니, 이건 마치 “더 많은 친구와 함께 살면 더 행복할 거야!”라는 잘못된 믿음 같아요.

유지우 카라 활동가는 “정부가 이 유예기간 동안 뭘 했는지 궁금하다”며 “2년 뒤에도 제대로 실행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어요. 닭들이 더 넓은 공간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기보다는, 그냥 케이지에서 한 마리씩 빼내는 방식으로 기준을 맞추려 한다는 거죠. 이건 마치 “내 방이 좁으니 친구를 한 명만 초대할게”라고 하는 것과 비슷해요.

참고로 필자는 토종닭을 방사해서 키우고 있어요. 소위 달걀 맨 뒤 글자에 1로 표시하는 달걀을 소수 정예로 생산하고 있지요. 닭들에게 더 이상의 고통을 주는 행위는 소비자가 스트레스가 넘치는 닭이 낳은 달걀을 먹는 꼴이 되고 있어요.

대한민국은 산지가 70%나 되는 나라입니다. 이제는 일정한 산지에 닭 농장 건설을 위해 신고만 하면 방사하여 키우는 법 제정이 필요합니다. 우리 국민들은 스트레스가 넘치는 달걀을 먹기보다는 건강한 달걀을 먹을 권리가 있습니다.

정진아 동물자유연대 팀장도 “달걀 공급과 가격 안정의 취지를 이해하지만, 이번 발표는 밀집사육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것”이라며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어요. 닭들이 더 많은 친구들과 함께 살게 되면, 서로의 스트레스가 더 커질 것 같은데, 이건 정말 걱정스러운 일이죠.

그리고 케이지를 12단으로 높이는 것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농장동물 전문가인 이혜원 교수는 “윗단에 있는 닭의 경우 아픈 개체 관리나 사체 처리 등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며 “제때 관리하지 못할 경우 닭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이건 마치 “내가 위층에 살면, 아래층 친구가 아프더라도 잘 모르겠지?”라는 생각과 같아요.

정부는 “달걀 공급과 가격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과연 이게 진정한 해결책일까요? 

농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약 1,000여 개의 산란계 농가 중 절반가량이 기존 사육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요. 

개선된 사육밀도 기준에 맞춰 시설을 개선한 곳은 겨우 90여 곳뿐이라고 하니, 이건 정말 심각한 문제죠.

결국, 이 모든 상황은 우리 식탁의 달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명목 아래, 닭들의 복지는 뒷전으로 밀려나는 것 같아요. “달걀 공급만 되면 그만!”이라는 생각이 과연 옳은 것인지, 우리 모두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여러분, 앞으로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그리고 닭들이 진정으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달걀 한 알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겨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