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군부의 탄압과 최성묵 목사 : 고난 속의 결단

1980년대 초, 신군부의 쿠데타 이후 한국 사회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습니다. 신군부는 각 지역의 민주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체포하며, 집권을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인물들은 끊임없는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1980년 7월 19일, 보안사령부 부산분실에 연행된 임기윤 목사가 3일 후인 21일 국군통합병원으로 이송된 뒤 7월 26일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임목사의 사망 원인은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그의 부인이 목격한 바에 따르면, 임목사의 뒷머리 왼쪽이 3센티미터 정도 찢어져 있었고, 피가 말라붙어 있는 상태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정황은 그의 죽음에 타살 의혹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임기윤 목사의 죽음은 신군부에게 큰 타격이었습니다. 그의 죽음으로 인해 합수부는 최성묵에 대한 수배의 끈을 느슨하게 만들었고, 그는 결국 교회로 복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수배 중에 겪은 고난은 그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최성묵은 수년간 한두 달에 한 번씩 세브란스병원으로 통원 치료를 받아야 했고, 평생 혈압약을 복용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건강 문제는 그가 평범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큰 어려움을 주었습니다. 조금만 과로해도 오른쪽 다리를 절곤 했습니다.

의사들은 그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민주화 운동을 중단하고 목회에 전념하라고 권유했습니다. 그러나 최성묵은 이러한 제안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그는 민주화라는 대의 앞에서 자신의 개인적인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는 결단을 내렸습니다. 그의 마음속에는 정의와 자유를 위한 싸움이 여전히 살아 있었던 것입니다.

최성묵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열망과 신념을 꺾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목회 활동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그들을 민주화를 위한 투쟁에 참여하도록 격려했습니다. 그의 신념은 단순히 개인의 고난을 넘어,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집단적인 의지를 대변하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최성묵은 신군부의 억압 속에서도 결코 굴복하지 않았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싸웠습니다. 그의 고난은 결국 더 큰 희망으로 이어졌고, 이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최성묵의 결단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민주화의 길을 걷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해지는 메시지입니다. 그는 그 어떤 고난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계속 걸어갔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한국 사회의 민주화 역사에서 중요한 한 페이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기억될 것입니다.

 

차성환 지음(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