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21 보라매의 글로벌 약진, 그러나 아직 필요한 무기체계는?

2025년 전 세계 최강 전투기 순위에서 한국의 KF-21 보라매가 4위에 오르며 이목을 끌었다. 미국 F-35·F-22, 중국 J-20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은 기술력과 잠재력을 입증하는 쾌거다. 그러나 KF-21이 명실상부한 5세대 전투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무기체계와 방어체계 보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KF-21은 제너럴 일렉트릭 F414 엔진을 기반으로 마하 1.8의 속도를 내며, AESA 레이더와 기본적인 전자전 장비를 탑재한 ‘4.5세대 전투기로 평가된다. 하지만 현대 공중전의 핵심은 단순 속도나 기동성만이 아니라, 스텔스 성능과 네트워크전 능력에 있다. 특히 스텔스 기능 강화와 내부 무장창 설계는 향후 보강이 시급한 분야다.

 

첫 번째로, KF-21은 아직 완전한 내부 무장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 외부 무장 탑재는 공기역학 성능은 물론 스텔스 성능까지 저하시킨다. 현재 외부 장착 방식으로는 F-35, J-20 등과의 교전 시 레이더 탐지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내부 무장창 탑재를 위한 설계 수정과 무장 최적화가 장기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두 번째는 전자전 능력 강화다. KF-21에는 국내 개발 AESA 레이더와 기본 전자전 체계가 들어가 있지만, F-35전자기 스텔스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특히 미국이나 중국의 최신 전투기들이 레이더 교란, 사이버 공격, 통신 방해 기능까지 결합한 복합전장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는 데 비해, KF-21의 방어능력은 아직 발전 여지가 크다. 자체 개발하는 첨단 전자전 포드와 드론 연동 작전 기능 등이 강화돼야 한다.

 

셋째는 네트워크 중심전 체계 구축이다. F-35가 세계 최강으로 꼽히는 이유는 뛰어난 센서 융합 능력과 헬멧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공유 능력 덕분이다. KF-21 역시 국산화된 헬멧 장비와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지만, 한미연합작전이나 다국적 연합작전을 염두에 두고 글로벌 호환성 확보가 과제로 남아 있다. 나아가 무인기와 연계된 유무인 복합 전투 체계도 개발이 요구된다.

 

방어체계 측면에서는 스텔스 코팅의 내구성과 유지비용 문제도 지적된다. 고온·고습 환경에서 스텔스 외피의 유지보수성이 미군 기종 대비 떨어질 경우 작전 지속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레이더 반사 단면(RCS)’ 저감 기술의 안정성과 정비 효율을 높이는 방향의 개량이 필요하다.

 

KF-21은 중간 단계의 시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와 동유럽 등에서 수출 가능성을 인정받는 등 세계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그러나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5세대 전투기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내부 무장 시스템, 전자전 능력, 네트워크 연동성 등 전반적 무기체계의 업그레이드가 병행돼야 한다. ‘보라매의 도약은 시작에 불과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