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배터리 산업의 위기와 K배터리의 새로운 기회

최근 유럽 배터리 산업이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 배터리 재활용 기업 하이드로볼트의 CEO 올레 크리스텐 엥거는 “북유럽의 탄소 저감 기술과 K배터리가 결합하면 6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한국과 북유럽 간의 협력이 배터리 공급망 다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노르딕배터리 연합은 2020년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3개국이 주도하여 결성한 민간 컨소시엄으로, 2차전지 공급망에 속한 150여 개 기업과 70여 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합은 탈탄소의 핵심인 ‘배터리 독립’을 목표로 하며, 원재료부터 최종 소비재까지의 가치사슬을 아우르는 협력체로 출범했습니다. 주요 회원사로는 유럽 최대 광산업체인 피니시미네랄그룹(FMG), 노스볼트, 하이드로볼트, 볼보건설기계 등이 있습니다.

최근 노스볼트가 미국 연방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면서, 북유럽은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노스볼트는 폭스바겐과 BMW가 주요 주주로 있는 배터리 스타트업으로, 경영진은 세계 1위 배터리셀 제조사인 중국 CATL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의 영향력이 북유럽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중국은 2010년 스웨덴 볼보를 인수한 이후, 볼보의 연구개발(R&D) 센터를 활용해 차량용 반도체 등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양극재 제조사 이스프링과 전구체 기업 중웨이신소재(CNGR)는 FMG와 협업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유럽 3국은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자 합니다.

북유럽은 한국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탄소 저감 인프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탄소 저감 설비를 대거 확충하고 있으며, 엥거 CEO는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니켈 등을 추출하면 탄소 배출량을 75% 감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FMG는 매년 3만 톤의 니켈을 핀란드에서 채굴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은 인도네시아의 7%에 불과합니다.

또한, 북유럽은 한국 기업이 유럽의 무역장벽을 뚫을 수 있는 교두보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내년부터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는 수입품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탄소량을 측정해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수력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북유럽에서 배터리를 생산하면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EU가 추진하는 친환경 보조금 정책도 한국 기업에게 유인책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유럽 투자기금(EIF)은 2차전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10억 유로 규모의 지원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K배터리가 유럽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유럽 배터리 산업은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해 K배터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북유럽의 탄소 저감 기술과 한국의 배터리 기술이 결합하면,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