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경제는 불황과 각종 전쟁, 질병, 천연재해 등으로 인해 소비 경기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중산층의 붕괴와 빈부 양극화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서민들은 고물가와 생활비 걱정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정부의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산층은 영세사업자로 전락하고, 영세사업자는 신용불량자로 내몰리는 현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잠재적 빈곤층을 합하면 2004년 전체 인구의 15%에 해당하는 700만 명에서 2007년에는 716만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2022년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은 물가 상승에 따라 조정되었으며, 기초생활수급자는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입니다.
차상위계층은 그 120% 이하의 소득으로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으며, 이는 중산층의 어려움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중산층의 현주소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 국민 10명 중 1명이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빈부 양극화와 중산층의 몰락은 우리 사회에 적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70%가 중산층 이하라고 느끼고 있으며, 이는 심리적으로 1:9 사회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상황은 IMF 체제 이후의 여파로 보이며, 사회 구성원들의 절망감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이는 표면적인 지표에 불과합니다.
대다수 국민들은 경기 회복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유통 산업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대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는 가운데, 중소기업과 영세 자영업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경기가 좋더라도 그 혜택은 대기업에만 돌아가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성장과 분배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기보다는 양극화를 완화하고 사회 안전망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중소기업이 자생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확보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자본주의 체제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인 자본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때, 국민소득 4만 달러와 사회보장제도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기업의 성장과 국가 경제의 발전은 국민 복지 정책의 핵심입니다.
중산층의 경쟁력 회복이 국가 성장의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정치권은 비판보다 실질적인 정책을 제시하고, 서민 경제와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동네상권의 회복이 중산층 증가의 첫걸음입니다. 동네슈퍼와 대기업 브랜드는 서로 상생해야 합니다.
동네슈퍼의 존재가 있었기에 대기업이 성장할 수 있었던 만큼, 이제는 대기업들이 무너져 가는 동네슈퍼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우리 모두가 동네슈퍼와 중산층의 회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입니다.
중산층을 살리고 동네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합니다.
이제는 우리가 함께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할 때입니다.
'정부 정책, 유통 정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벤처기업부의 소상공인 지원 정책: 실효성과 정치적 구호의 한계 (3) | 2024.10.05 |
---|---|
중소유통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 변화하는 유통 환경에 대응하자 (5) | 2024.10.03 |
대한민국, 마케팅 국가로 도약하자! (7) | 2024.09.28 |
경제적 균형감각의 필요성과 도전 (9) | 2024.09.28 |
한국 자영업자의 위기와 협동정신의 부재: 해결책은 무엇일까? (7)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