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광 무비자 조치에도 관광객 수 감소… 경제 위기의 그림자

중국이 경제 위기 속에서 관광 수입을 증대시키기 위해 외국인 관광객 대상 무비자 조치를 확대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중국을 찾은 관광객 수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상황이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3분기 동안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2300만 명으로,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전인 2019년 동기 대비 63% 수준에 불과하다.

관광객 수의 감소는 관광 수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와 세계여행관광위원회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을 방문한 관광객들이 중국 내에서 지출한 규모는 1320억 달러(약 192조 원)였으나, 지난해에는 980억 달러에 그쳤다. 이는 관광 산업의 회복이 더디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서방 기업들의 중국에 대한 투자가 줄어든 것도 관광객 수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지난해 중국으로의 비즈니스 목적 여행 건수는 2019년 수준의 52%에 불과했다. 중국 전문 여행사인 임페리얼 투어의 설립자 가이 루빈은 “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중국을 두려워한다”면서 “사람들은 지정학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팬데믹 이전에는 사업 부문의 90%가 중국 여행을 취급했던 임페리얼 투어는 이제 한국 여행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중국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상호주의 원칙에 개의치 않고 비자 면제 조치를 시행하는 국가를 늘려왔다. 현재 중국은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호주, 뉴질랜드 등 38개국 국민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시행 중이며, 54개국을 대상으로 중국에서 환승 경유 시 무비자 적용 기간을 열흘로 늘리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과거 중국은 비자 면제 정책을 실시할 때 상대 국가에 호혜적 요구를 하는 경향이 강했다”면서 “이제는 일방적 비자 면제를 주도적으로 제공해 심각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상황에서 외국인 소비자를 유치하려는 절박함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진핑 시대의 중국과 공산당의 미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등소평의 지도력과 시진핑의 지도력을 비교하며, 과연 중국의 공산주의 체제와 경제적 민주주의 양립 정책이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이 직면한 경제적 도전과 지정학적 긴장은 앞으로의 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