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이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정치권 안팎에서는 다양한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특히 그가 보여온 정치 스타일과 최근의 발언, 민주당의 움직임은 단순한 정권교체를 넘어선 체제 변화의 전조로 읽히기도 한다.
최근 논란이 된 지귀연 판사 수사는 그 상징적 사례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석방한 이 판사에게 공수처가 수사를 개시하면서, “사법부 길들이기”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는 단지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선거 이후 민주당의 탄핵·고발·특검 추진 흐름과 맞물려 권력 집중과 오남용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특히 대법원장이 파기환송을 했다는 이유로 특검의 대상이 되는 현실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 흔치 않은 일이다.
이재명 후보는 “정치보복은 없다”고 말하면서도 “이번 선거는 응징”이라는 말을 했다.
언어의 모순은 단순한 실언일까, 아니면 권력 의지의 표현일까? 법조계에서도 판결을 비판하기보다 판사를 수사하는 행태에 대한 깊은 우려가 퍼지고 있다. 절대 권력은 오류를 인정하지 않고, 비판자에게는 낙인을 찍는 방식으로 자신을 방어하기 때문이다.
이 후보의 ‘셰셰’ 발언, ‘호텔 경제학’, ‘커피 원가 120원’ 같은 주장들은 정치적 수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단순한 실언이 아니라, 현실과 유리된 인식의 결과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 그는 “바보”라는 표현으로 대응했다.
정책에 대한 반박이 아닌, 인신공격성 발언이 나온 것이다. 이는 정치적 포용보다 감정적 대응이 앞서는 태도로 비칠 수 있다.
양곡관리법, 노란봉투법 등 주요 입법안들도 마찬가지다. 경제적 파급과 사회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밀어붙이기식 입법이 현실화될 조짐을 보인다. 이는 견제 없는 다수당 권력의 한계를 드러내며, 장기적으로는 국정운영의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문제는 이재명 후보를 견제할 수 있는 정치세력이 현재로선 김문수 이외엔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친윤계의 내분과 혼란은 오히려 이 후보의 대세론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재명의 부상이 여야 대화를 거부하고 '독야청청'했던 윤석열 정부의 실패에 기인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양측이 서로에게 ‘천운’을 제공하며 교대로 권력을 주고받는 정치 구조 속에서, 유권자의 선택은 반복된 실망을 피할 수 없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운(運)은 영원하지 않다. 대중의 지지가 단단하지 않다면, 예상보다 빠르게 권력은 흔들릴 수 있다.
김문수의 지지도가 예상외로 전국적으로 빠르게 치고 올라 오고, 이준석도 가세하여 이재명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견제 없는 권력 구조는 언젠가 내부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속도가 빠를수록 충돌의 충격도 크다.
따라서 국민들은 이재명의 남다른 독주에 따른 두려움과 반대급부를 요구하는 유권자 심리가 빠르게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그가 시한폭탄이 아니라 실용적이고 책임 있는 국가 경영자로 남기를 바란다.
지금 같은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방식은 결국 본인에게도 독이 될 수 있다.
이재명이라는 이름이 ‘총통’이 아니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또 다른 실험으로 기억되기를 기대한다.
'정치,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정치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동 아닌 비전, 보복 아닌 미래를 말하는 대선이 되어야 한다 (0) | 2025.05.23 |
---|---|
대선의 승자는 누가 되는가? 개혁 아닌 ‘시한폭탄’ 제거자가 결정한다 (2) | 2025.05.23 |
말과 행동이 달랐던 이재명, 집권하면 대한민국은 어디로 갈까? (0) | 2025.05.23 |
조기 대선 정국, 말의 무게와 선택의 흐름… 최종 승부는 어디에서 갈릴까? (0) | 2025.05.23 |
혀의 무게, 진심의 간절함… 대선의 승패는 어디서 갈릴까?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