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의 숨은 보물, 선교장: 조선 사대부의 고택을 탐방하다

강원도 강릉시 운정동에 위치한 선교장은 조선 사대부의 주택으로, 중요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된 역사적인 고택입니다. 이 집은 뱃머리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집터 덕분에 '선교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내번(이내번)이 지은 이 고택은 후손들이 여전히 거주하고 있어, 그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선교장은 사랑채인 열화당(悅話堂)과 정자인 활래정(活來亭) 등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화당은 1815년에 이후(이후)가 건립하였고, 활래정은 1816년에 이근우(이근우)가 중건하였습니다. 이 고택은 안채, 사랑채, 동별당, 서별당, 사당, 정자, 행랑채 등 다양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대표적인 예로 손꼽힙니다.

선교장의 배치는 간좌곤향(艮坐坤向)으로, 서남향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곳의 입지환경은 시루봉에서 출맥한 용맥이 서진과 남진을 거듭하며 낮은 동산을 이루고, 난곡천을 따라 남동진하는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교장은 주산에서 동진한 용맥이 활모양으로 굽어 흐르는 안쪽에 위치해 있어, 자연의 기운을 잘 흡수할 수 있는 명당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고택 내부의 배치는 대문과 사랑채, 중문과 안방, 부엌의 조화가 중요합니다. 대문을 지나면 중문간의 행랑채가 나오고, 그 서쪽에는 사랑 마당이 있습니다. 사랑채인 열화당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一자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청과 사랑방, 침방, 누마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사랑채 전면에는 차양이 설치되어 있어 강한 햇볕과 비를 막아줍니다.

안채는 행랑채 동쪽에 위치하며,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의 배치는 팔괘 상으로 길한 조화를 이루고 있지만, 중문과 안방의 배치가 흉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선교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기운을 지닌 고택으로, 자손이 번창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풍수적으로 볼 때, 선교장은 지기가 왕성한 곳은 아니지만 양기의 흐름이 좋고, 좌향이 정법으로 놓여져 있어 신동이 태어나고 자손이 번창할 수 있는 명당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랑채와 안방, 부엌의 배치가 흉하여 길함이 상쇄되는 점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고택은 안채가 동별당과 서별당으로 나뉘어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흉함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선교장은 강릉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장소입니다. 이곳을 방문하면 조선시대 사대부의 삶과 풍습을 엿볼 수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고택의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강릉을 여행할 계획이라면, 선교장을 꼭 방문해 보세요. 이곳에서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고택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