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묵 목사의 용기와 신념: 유신 시대의 민주화 투쟁

1970년대 중반, 박정희 정권의 유신 탄압이 극에 달하면서 법과 정의가 무너지고 많은 학생과 청년들이 원하지 않는 감옥으로 가는 사건이 잇따랐습니다. 이 시기에 선생님은 시대적인 양심과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역사적 현실과 사명감에 부딪치고 계셨습니다. 선생님은 저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이제 더 이상 이 세상을 향해 바른 말을 못하는 세상이 되었다. 내가 말할 수 있는 곳은 교회밖에 없으며, 목회자의 길로 가겠다.” 그리고 선생님은 부산YMCA 총무직을 사임하시고 중부교회 전도사로서의 새로운 길을 시작하셨습니다.

저는 솔직히 예수님보다 선생님이 더 좋아서, 전 가족이 기독교인이 되기로 마음을 굳혔습니다. 아내와 의논하니 쾌히 동의해 주었습니다. 선생님께서 처음 목회자로서 세례를 주시던 날, 저는 조인두 씨 등과 함께 세례를 받았습니다. 이로써 종교에 대한 제 모든 고민은 선생님을 만나면서 해결되었고, 인생의 많은 것이 안정되어 보다 일상적인 사회생활과 직장에 신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19773, 선생님이 중부교회 전도사로 계실 때, 저는 결혼식 주례를 부탁했습니다. 선생님은 교회가 아닌 일반 예식장임에도 기꺼이 오셨고, 주례사 말씀은 고린도전서 13, 사랑에 대한 말씀이었습니다. 그 후, 저는 제주도, 울산 등지로 이주하면서도 선생님을 마음속에서 잊어본 적이 없었습니다. 특히 울산 소장 시절, 주일이면 특별한 일이 없으면 2시간이 넘는 길을 아내와 자식들과 함께 보수동 중부교회로 달려갔습니다.

1979년 말, 유신헌법을 만든 박정희 독재정권이 곪아 터지면서 부마 사태가 일어났고, 저는 제주도에서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친구들의 전언에 따르면, 선생님은 길거리의 맨 앞에서 워싱턴 행진을 이끌던 마틴 루터 킹 목사처럼 행동하셨다고 합니다. 이후 선생님은 민주화를 열망했던 청년들과 종교인 등 부산 지역의 민주 인사들과 함께 안전기획부의 부산 모처에 구금되셨습니다.

옆방에서는 비명 소리가 들렸지만, 선생님에게는 담당관들의 폭행이 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하루 8번씩 2시간 동안 똑같은 질문으로 심문을 계속 받았고, 그 심문이 몇 일간 계속되었는지 기억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선생님은 북한의 지시에 의해 부마 사태를 주동한 최고 책임자라고 인정할 것을 강요받는 것이었습니다. 진실과 관계없이 잘 짜여진 심문 과정에서 선생님은 얼마나 긴장하였는지 바지가랑이가 땀으로 범벅이 되어 있는 줄도 몰랐다고 하셨습니다.

그러한 날들 속에서 어느 날 아침, 담당 조사관들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알고 보니 10.26 사태가 선생님의 목숨을 건지게 한 사건이었습니다. 포항 총살형 이후, 두 번째로 하나님으로부터 목숨을 연장받는 순간이었을 것입니다.

선생님의 이러한 용기와 신념은 당시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진실을 지키기 위해 싸웠고, 그 과정에서 많은 이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습니다. 그의 삶은 단순한 신앙의 범주를 넘어, 사회 정의와 인권을 위한 투쟁의 연대기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선생님의 가르침을 기억하며, 그가 꿈꾸었던 정의롭고 평화로운 사회를 위해 계속해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