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6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공장이 본격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이 공장은 단순한 전기차 조립 공장이 아니라, 북미 전기차 밸류체인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며 한국 산업계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이 공장 가동 소식은 산업계와 금융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4조 원 규모의 수출금융과 투자금이 몰려들었습니다.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는 아이오닉5, 아이오닉9, 기아 EV6·EV9, 제네시스 GV70 등 다양한 전기차 모델이 생산됩니다. 이 차량들은 SK온이 공급하는 고성능 배터리를 탑재하여,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기아 EV6·EV9 모델은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세액공제 대상이 되어 소비자에게 최대 7500달러의 세액 환급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는 북미 시장에서 현대차의 판매량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SK온은 현대차의 미국 공장이 가동됨에 따라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정부로부터 받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규모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SK온은 지난해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해 AMPC 보조금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지만, 현대차와의 연계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올해에는 약 4542억 원 수준까지 반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금융권에서도 SK온과 현대차그룹의 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두 기업은 미국 내 배터리 생산 확대를 위한 합작 공장을 추진 중이며, 이 공장은 2026년 초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산 35GWh 규모로 SK온의 기존 공장보다 1.6배 큰 규모로 계획되고 있으며, 한국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가 각각 15억 달러 규모의 수출금융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에서 테슬라 다음으로 많은 전기차를 판매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으면서, 아이오닉9 출시와 IRA 보조금 혜택이 더해져 전기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른 배터리 수요 증가로 SK온 역시 북미 시장 내 입지를 확고히 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SK온은 일본 닛산과도 대형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28년부터 2033년까지 6년간, 99.4GWh 규모의 하이니켈 배터리를 닛산에 공급하는 계약으로, 이는 전기차 약 100만 대에 들어갈 물량으로 추산되며, 규모는 약 15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SK온은 북미 시장에서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폭탄을 예고한 만큼, 현지 생산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현대차그룹과 손잡은 SK온이 가장 빠르게 미국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현대차 공장의 본격 가동은 한국 전기차 산업의 분기점으로 평가되며, 북미 전기차 시장의 판도가 다시 짜이고 있는 가운데, 누가 먼저 기회를 선점할지가 산업계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대차와 SK온의 협력은 한국 전기차 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한국 기업의 글로벌 파이팅을 기대하며, 앞으로의 성장을 지켜보겠습니다.
'기업 경영, 세계 기업, 브랜드,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스마트폰, 미국 관세 폭탄의 여파와 대응 전략 (0) | 2025.04.05 |
---|---|
현대차 GBC 사업, 서울시와의 갈등 속에 표류하는 꿈 (0) | 2025.04.05 |
다양한 지형에서 빛나는 4x4 픽업트럭의 매력 (0) | 2025.04.04 |
LG디스플레이의 역사적 전환,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는? (0) | 2025.04.04 |
한국 제조업의 위기, 이기주의가 부른 상생의 부재 (9)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