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방산업체들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여 ‘K-방산’ 세일즈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 방문은 1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석 청장은 사우디 국가방위부 장관인 압둘라 빈 반다르 알 사우드와 면담을 가졌습니다. 이번 만남은 한국 방산업계의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정학적 갈등이 지속되면서 한국 방산 업계는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특히 사우디와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한국 방산 업체가 진출하기 어려웠던 잠수함 분야에 대한 사우디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합니다. 석 청장과 대표단은 사우디 무기체계를 관장하는 칼리드 빈 후세인 알비야리 국가방위부 정무차관과 알 사우드 장관과의 면담을 통해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K2 전차와 K9 자주포 외에도 잠수함에 대한 관심이 제기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입니다. 한국의 잠수함 무기체계를 제안하자 사우디 관계자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한국은 독자적인 잠수함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간 수출 실적은 미미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우디와의 협력을 통해 해양 무기 분야로의 진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한국 방산업계에 있어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화오션의 전신인 대우조선해양이 2011년과 2019년에 인도네시아에 잠수함을 수출한 이후, 올해는 캐나다 순찰 잠수함 프로젝트(CPSP)와 폴란드 해군의 잠수함 현대화 사업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 두 사업의 규모는 각각 70조원과 3조4000억에 달해, 성공할 경우 역대 두 번째 잠수함 수출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또한, 한화오션은 지난해 폴란드 방산그룹 WB와 잠수함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폴란드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 장보고-III(KSS-III) 잠수함을 소개받은 것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세계 각국이 국방 예산을 늘리면서 한국 방산업계는 기술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금융정보회사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방산 4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KAI, LIG넥스원)의 지난해 영업이익 합산 전망치는 2조1146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방산업계가 처음으로 2조원대를 기록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K2 전차의 폴란드 수출 성과와 함께 잠수함 분야로의 확장이 이루어진다면, 올해 영업이익은 3조원대를 넘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방산업계의 영업이익은 2021년 5128억원에서 2022년 8685억원, 2023년 1조3350억원으로 증가해왔습니다.
K-방산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이번 사우디와의 협력은 한국 방산업계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국가 안보, 국방, 무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군의 러시아 전선 참전, 그 이면의 복잡한 진실 (0) | 2025.02.06 |
---|---|
K9 자주포: 글로벌 방산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다 (2) | 2025.01.30 |
이광우 경호본부장, 경찰 구속영장 신청에 반발: "엉터리 법 적용" (1) | 2025.01.27 |
'K-아이언돔' 미사일 요격체계 개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다 (0) | 2025.01.24 |
북한 경제와 K-콘텐츠: 새로운 전선의 형성 (2)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