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발전, 에너지 전환의 양날의 칼

최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초안에서 LNG 발전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이 에너지원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 중 LNG 발전 비중을 25.1%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좌초자산'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반면, 무탄소 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LNG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존재합니다.

전문가들은 LNG의 배출량이 석탄의 75%에 달하고, 재생에너지원보다 1.2~1.5배 비싸며,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만큼 에너지 안보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LNG 발전 설비를 확대할 경우 기후 변화로 인해 자산 가치가 떨어지는 '좌초자산'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좌초자산이란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자산 가치가 하락하거나 부채로 전환되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제10차 전기본에서 2030년까지 LNG 발전 비중을 22.9%로 설정했으나, 제11차 전기본 초안에서는 이를 25.1%로 늘리며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하고 LNG로 전환하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대로 착공이 지연되고 있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LNG 가격은 국제 정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는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구매비용 상승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전력거래소의 원료별 정산단가에 따르면, LNG의 발전단가는 태양광과 풍력보다 43.9~55.6원/kWh 비쌌습니다. 이로 인해 LNG 가격이 전력 도매가격(SMP)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이는 한전의 적자 심화와 전기요금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후솔루션은 한국이 LNG 발전 의존도를 G20 평균인 17.5%까지 낮췄다면, 국제 에너지 위기에도 LNG 연료비를 약 22조 원 감축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하며,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가 에너지 안보의 척도로 재정의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LNG 발전의 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환경단체 플랜 1.5는 LNG의 전주기 배출량이 석탄의 75%에 달한다고 주장하며, 석탄을 LNG로 전환할 경우 감축 기여도가 25%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LNG 수요는 2035년 이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따른 좌초자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비 확대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정부와 LNG 업계는 LNG가 무탄소 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브릿지 연료로서의 역할이 충분하다고 주장합니다. LNG는 기동성이 뛰어나 전력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른 발전원들은 기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LNG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LNG 발전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좌초자산 문제와 가격 불안정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의 에너지 정책은 이러한 양면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에너지 전환의 성공은 LNG의 역할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