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9년 연속 글로벌 TV 시장 1위…프리미엄 전략으로 중국 업체 압도

삼성전자가 19년 연속으로 글로벌 TV 시장 1위를 지켰습니다.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는 여전히 TV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며, 저가 공세를 앞세운 중국 TCL과 하이센스 등 경쟁사와 확실한 격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4년 글로벌 TV 시장에서 매출 기준 28.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06년부터 무려 19년 동안 정상의 자리를 내주지 않았습니다. LG전자는 16.1%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TCL(12.4%)과 하이센스(10.5%)가 뒤를 이었습니다. 일본 소니는 5.4%로 5위에 머물렀습니다.

삼성전자는 네오 QLED, OLED,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제품군을 앞세워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2500달러(약 330만 원)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49.6%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75형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도 28.7%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프리미엄 TV의 대표 제품인 QLED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46.8%의 매출 점유율을 기록하며 절반에 가까운 시장을 장악했습니다. OLED TV 시장에서도 삼성은 144만 대를 판매하며 매출 기준 27.3%의 점유율을 기록, 전년 대비 42% 성장했습니다.

이헌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19년 연속 글로벌 TV 시장 1위를 지킬 수 있었던 건 소비자의 신뢰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AI TV 등 혁신 기술을 통해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TV에 인공지능(AI) 기능을 적극 도입하며, 단순한 영상 시청 기기를 넘어 개인 맞춤형 스마트 기기로 진화시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AI 스마트홈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 실내 환경, 날씨 등을 분석해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공기 질이 나빠지면 공기청정기 작동을 추천하고, 에어컨 사용 시 블라인드를 내려 냉방 효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LG전자 역시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한 ‘알파11 프로세서’를 탑재해 픽셀 단위로 화질을 조정하고, TV 설치 공간과 콘텐츠 유형에 맞춰 최적의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LG전자는 자사의 운영체제(OS) ‘웹OS25’에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적용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최근 중국 업체들이 적극적인 가격 경쟁력과 마케팅을 앞세워 빠르게 점유율을 높이자, 삼성전자와 LG전자 역시 기술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비전 AI’ 기능을 통해 TV가 단순한 시청 기기를 넘어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동반자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LG전자도 초대형 OLED TV 라인업을 확대하며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최근 단순한 ‘가성비’ 전략을 넘어 AI, 콘텐츠, 디자인까지 삼성과 LG를 따라 하고 있다”면서 “한국 기업들은 단순한 점유율 확대가 아니라 기술력으로 확실한 차별화를 이뤄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AI 기술과 프리미엄 전략으로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고, 글로벌 TV 시장에서 20년 연속 1위를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