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양주군 와부읍 덕소리 석실 마을에는 신안동 김씨의 100년 세도 정치를 가능하게 한 조선 8대 명당 중 하나인 김번(金번) 묘가 있습니다. 이 묘는 술병에 물을 가득 담아 놓은 형국인 옥호저수형(玉壺貯水形)으로, 혈판이 마치 옛날 술병과 같이 생겨 자연의 신비함을 자아냅니다. 묘 뒤는 술병의 주둥이처럼 생겼고, 여기서 내려온 입수룡은 술병의 목처럼 보이며, 묘가 있는 자리는 호리병의 몸통으로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이러한 명당을 바탕으로 안동 김씨는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세도 정치를 이어갔습니다.
안동 김씨(安東 金氏)는 본관은 같으나 시조가 다른 두 파로 나뉘어 있습니다. 구안동(舊安東) 김씨는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의 후손으로, 고려 초에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고, 그의 후손인 김사형(金士衡)은 조선조 개국공신으로 좌의정까지 오릅니다. 반면 신안동 김씨는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견훤을 대파한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며, 조선 중기까지 두드러진 인물을 배출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정승 15명, 판서 35명, 대제학 6명, 왕비 3명을 배출하며 최고의 가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신안동 김씨 12세인 김번은 성종 10년(1479년)에 태어나 중종 39년(1544년) 66세로 타계했습니다. 그의 부인은 남양홍씨로, 남편보다 6년 뒤에 사망하여 함께 묻혔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이 자리는 본래 김번의 처가인 남양 홍씨의 방앗간 터였다고 합니다. 김번의 백부는 풍수지리에 밝아 이 자리가 명당임을 알고 조카에게 알려주었고, 부인 홍씨는 친정 집을 설득하여 방앗간을 헐고 묘를 쓰는 것을 허락받았습니다.
김번의 손자 김극효는 당시 세도가의 사위가 되었고, 그의 아들 김상용과 김상헌은 나란히 정승에 올랐습니다. 김상용은 인조반정 후 서인의 한사람으로서 우의정을 하였고, 병자호란 때 왕족을 보호하다가 자살한 인물입니다. 청음 김상헌은 좌의정을 지내며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다가 유배 생활을 했습니다.
안동 김씨는 장동 김씨라고도 불리며, 특히 김상헌의 직계 후손들이 정승과 왕비를 배출했습니다. 김수항과 김창집 부자는 영의정을 지냈고, 김조순은 순조의 장인으로 국정을 총괄했습니다. 이후 김조순의 딸이 헌종의 왕비가 되었고, 김문근의 딸이 철종의 왕비가 되면서 안동 김씨는 국정을 장악하게 됩니다.
이처럼 안동 김씨는 역사 속에서 세도정치를 이어오며 많은 인물을 배출한 명문가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김번 묘와 그 전설은 안동 김씨의 위대한 역사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 있습니다.
'문화재, 명문, 고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김씨 세도의 근원, 옥호저수형 김번 묘 (0) | 2025.02.19 |
---|---|
고성 이씨와 임청각: 500년의 기품 위에 피어난 독립운동의 꽃 (0) | 2025.02.19 |
허균과 허난설헌: 변방의 창조성과 현대적 가치 (0) | 2025.02.15 |
조선 성리학과 허엽의 자녀들: 경포대와 교산의 전설 (0) | 2025.02.15 |
김치열家: 권력과 배신의 아이러니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