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AI 혁신, 한국의 미래를 위협하다

최근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중국발 딥시크 쇼크'로 폭락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주가 하락을 넘어, 중국이 독자적인 AI 인재 양성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며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딥시크의 창립자 량원펑은 해외 유학 없이 중국 저장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순수 국내파로, 대기업 출신 대신 경력 1~3년 차의 젊은 인재들로 AI 개발팀을 구성했습니다. 이번 AI 모델 개발에는 139명의 엔지니어가 참여했으며, 이들은 거의 전원이 중국 내에서 교육받고 경력을 쌓은 인력들입니다. 이는 AI 혁신이 미국 실리콘밸리의 천재들만의 전유물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중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AI 인재를 배출하는 나라로, 2022년 기준 전 세계 상위권 20%의 AI 연구원 중 47%가 중국에서 나왔습니다. 이는 미국의 18%를 크게 초과하는 수치입니다. 중국 정부는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 2018년 이후 2000개 이상의 AI 프로그램을 신설하며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매년 8만명의 STEM 분야 박사 인력을 배출하는 강력한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는 것입니다.

딥시크는 중국의 7대 AI 기업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그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알리바바는 챗GPT를 능가하는 AI 모델을 발표했습니다. 41만명의 AI 연구자와 4300개의 AI 전문 기업, 세계 2위의 AI 특허 출원 등 중국의 막대한 인재 풀과 기업 인프라는 중국의 AI 생태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제2, 제3의 딥시크가 언제든지 등장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딥시크가 추구하는 오픈소스 AI 생태계가 완성되면, 중국은 전 세계 AI 인재와 투자금을 흡수하는 AI 허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한국은 미국과 중국과 함께 'AI 3강'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현실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수재들은 의대 진학을 선호하고, 반도체학과가 등록금 전액 면제와 취업 보장을 내세워도 모집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공계 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한국을 떠나는 이공계 인재는 지난 10년간 34만명에 달합니다.

한국이 미국과 중국처럼 인재가 엔지니어가 되고 창업의 길을 선택하는 혁신 국가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미래 기술 전쟁에서 패자로 전락할 위험이 큽니다. AI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 시스템과 인적 자원의 배분을 재정비하고, 젊은 인재들이 AI와 기술 혁신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