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과 파나마 간의 중요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미국 정부 소유의 선박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때 통행료를 면제받기로 한 것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주요한 배경이 되었으며, 파나마 정부는 손해를 감수하고 이 결정을 내렸다.
미국 국무부는 5일(현지시간) 공식 소셜미디어를 통해 "파나마 정부가 더는 미국 정부 선박에 대해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미국 정부는 연간 수백만 달러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결정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파나마를 방문한 지 사흘 만에 이루어졌다. 파나마 대통령 호세 라울 물리노는 그동안 운하의 통제와 운영이 주권의 문제라고 주장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결국 양보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국방부도 이날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과 물리노 대통령 간의 통화 내용을 발표하며, 양국이 파나마 운하의 방어를 포함한 안보상의 이익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미군과 파나마군의 협력을 늘리기로 합의하고,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파나마 운하를 공동 방어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파나마 운하는 1914년 개통 이후 수십 년간 미국이 관리해왔으나, 1999년 12월 31일 파나마에 운영권이 넘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 건설한 운하를 파나마에 돌려준 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며 운하 운영권 환수를 언급한 바 있다. 그는 특히 파나마가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 아래 있는 홍콩계 회사에 두 개의 항구 운영권을 맡긴 것을 문제 삼았다.
이와 관련해 파나마 당국은 홍콩계 항구 운영권 보유사와의 계약 해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한 지 3주가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상대국의 양보를 이끌어낸 첫 사례로, 콜롬비아와의 군용기 착륙 문제에서도 고율 관세 위협을 통해 요구를 수용하게 만들었다.
이번 합의는 미국과 파나마 간의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지 주목된다.
'세계 정치, 경제, 국방, 인물,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남아 시장, 한국 유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 (0) | 2025.02.19 |
---|---|
중국에서 일본인이 줄어드는 이유: 외국인의 고민 (1) | 2025.02.15 |
미국 해군, 동맹국 조선업체와 협력의 길 열다 (0) | 2025.02.15 |
2024 아태소매업자대회: 홍콩 유통산업의 현황과 미래 (0) | 2025.02.14 |
2025년 홍콩 소매시장 트렌드와 마케팅 포인트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