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일본인이 줄어드는 이유: 외국인의 고민

최근 일본의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수가 20년 만에 10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일본 외무성이 발표한 ‘해외 재류 일본인 수 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일 기준으로 중국에서 3개월 이상 체류 중인 일본인은 9만7538명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인 장기 체류 국가 순위에서도 중국은 10만4천141명을 기록한 호주에 밀려 3위로 떨어졌습니다. 중국은 2003년 이후 2위를 유지해 왔으나, 이제는 그 위치를 잃게 되었습니다.

일본인들이 중국에서 장기 체류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 기업 진출과 함께 급증했으며, 2012년에는 15만 명을 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12년 일본 정부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국유화하면서 중국 내 반일 감정이 고조되었고, 이로 인해 일본인들의 체류가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정치적 요인에 그치지 않고, 경제적, 사회적 요인으로도 확산되었습니다.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는 일본 기업의 판매 부진으로 이어졌고, 이는 일본인들의 체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지난해에는 일본인 어린이 습격 사건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일본인들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일본인들이 중국에서 생활하는 데 있어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켰습니다.

NHK는 주재원들 사이에서 안전에 대한 불안으로 가족 동반을 주저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일본인들이 중국에서의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가족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환경이 필수적이지만, 최근의 사건들은 그러한 환경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반면, 지난해 10월 1일 기준으로 한국에 장기 체류하는 일본인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4만3천64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한국이 일본인들에게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인 생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에 장기 체류 중인 일본인은 41만여 명에 달하며, 이 역시 일본인들이 선호하는 국가 중 하나임을 보여줍니다.

결국, 중국에서 일본인이 줄어드는 이유는 단순히 경제적 요인이나 정치적 갈등에 그치지 않습니다. 안전과 안정성, 그리고 가족과의 생활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일본인들의 체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일본인들이 중국에서의 생활을 지속할 수 있을지, 아니면 다른 국가로의 이주가 더욱 가속화될지는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