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산업, 인재 사냥의 변화와 연봉 하락

최근 중국 반도체 업계의 인재 사냥이 신중해지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 이어진 반도체 불황으로 인해 투자액이 줄어들면서 자금난에 처한 상황입니다. 중국 반도체 전문 컨설팅회사 아이지웨이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경력 채용직의 평균 연봉은 34만 위안(약 6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약 4% 감소했습니다. 여전히 반도체 산업은 고액 연봉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분야이지만, 전체 연봉 수준은 점차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팹리스(반도체 설계) 엔지니어의 연봉 하락세가 두드러집니다. 50만 위안 이상의 고액 연봉을 받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반도체 엔지니어의 경우, 지난해 연봉이 전년 대비 1~8% 낮아졌습니다. 과거에는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 대대적으로 나서면서 팹리스 스타트업들이 고연봉을 앞세워 인재를 빼가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연봉이 최고 6배 인상되는 파격적인 제안으로 많은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들이 스타트업으로 옮겨갔습니다.

하지만 2023년 반도체 산업이 불황기에 접어들면서 투자 규모가 줄어들고, 팹리스 기업 수의 증가세도 둔화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조사업체 시노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반도체 프로젝트 투자액은 1조5000억 위안(약 300조원)에 달했으나, 2023년에는 1조2000억 위안으로 약 2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반도체 산업의 공격적인 인재 사냥 열기도 차츰 식어가고 있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기업 오포 계열사인 팹리스 전문업체 저쿠(哲庫) 테크는 500억 위안(약 10조원)을 투입해 반도체 칩을 만들겠다고 선언했으나, 매출 부진과 거액의 연구개발(R&D) 비용 부담으로 결국 해산되었습니다. 한 반도체 테스트 장비 전문 스타트업 관계자는 "현금 흐름에 여유가 없어 지난해 연봉을 동결하고 인재 채용도 없었다"며, 대신 경력이 짧은 신규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공정·장비 부문 엔지니어의 연봉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이지웨이에 따르면, 공정·장비 엔지니어의 평균 연봉은 20만 위안으로, 전년보다 7~8% 올랐습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2025년 말까지 중국 파운드리 산업의 성숙공정 생산력이 글로벌 '톱10' 파운드리 업체 생산력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며, 반도체 공정·장비 엔지니어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처럼 중국 반도체 산업은 현재의 불황 속에서도 특정 분야에서는 여전히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인재 채용 및 연봉 변화에 대한 주목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