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A 개통, 수도권 대중교통 통행량 50만 건 증가!

최근 GTX-A 수서∼동탄 구간의 개통이 수도권 대중교통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개통 직후, 수도권 전체의 대중교통 통행량이 하루 약 50만 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GTX-A를 이용한 승객들이 연계 교통수단인 버스와 지하철로 환승하면서 발생한 변화입니다. 특히 주말에는 이 노선을 통해 수도권의 대부분 지역으로 이동하는 승객들이 많아졌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의 김정인 부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연구에서 GTX-A 개통 전후의 대중교통 통행량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2023년 4월부터 7월까지의 개통 전 통행량은 하루 평균 1천813만 건이었으나, 2024년 4월부터 7월까지는 1천865만 건으로 약 52만 건(2.9%) 증가했습니다. 

GTX-A 개통으로 인해 추가된 통행량은 하루 8천585건에 불과했지만, 버스와 철도에서 각각 24만 건과 31만 건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버스 통행량은 968만 건에서 992만 건으로 2.4% 증가했으며, 철도 통행량은 844만 건에서 872만 건으로 3.3% 늘어났습니다. 

김 부연연구위원은 "GTX-A 개통 전후 통행량을 대상으로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신뢰도 95% 수준에서 변화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개통의 영향으로 수도권 대중교통 통행량이 증가한 것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고 밝혔습니다.

GTX-A 승객 중 환승한 인원이 통행량 증가에 크게 기여했으며, 과거 승용차나 수서고속철도(SRT)를 이용하던 승객들이 GTX-A로 전환한 수요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GTX-A 수서∼동탄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이동하는 지역, 즉 영향권은 주중에 경기도 동남부와 서울의 대부분 지역이 포함되었습니다. 

주말에는 서울, 경기, 인천의 모든 시군구가 영향권에 포함되며, 여가나 쇼핑 등으로 GTX-A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아 이동의 자유도가 높아졌습니다.

GTX-A가 파주 운정중앙역에서 화성 동탄역까지 연결되는 내년에는 영향권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분석은 국토교통부의 GTX 이용 데이터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국토부는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의 수요 데이터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은 개통 후 3개월 동안 약 370만명이 이용해 수서∼동탄 구간의 1년 승객 수에 육박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육인수 국토부 GTX-A 개통 추진팀장은 "램프업 효과가 단시간에 가시화되고 있으며, 연계 교통 등이 점진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더 많은 시민이 GTX를 통해 일상의 여유를 되찾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GTX-A의 개통은 수도권 대중교통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변화가 더욱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