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시흥시 배곧신도시의 아파트 가격이 한때 10억 원을 넘었던 것이 이제는 5억 원으로 반토막이 났습니다. 이 지역은 한때 ‘10억 클럽’에 가입하며 부동산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나, 현재는 개발 지연과 경기 침체로 인해 집값 하락세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역 주민과 상인들에게 큰 고충을 안기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배곧신도시의 주요 아파트 단지들은 2021년 최고가 대비 40% 이상 하락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흥배곧C2호반써밋플레이스’의 전용 84㎡는 2021년 6월 10억 원에 거래되었으나, 최근에는 5억 7,800만 원으로 떨어졌습니다. 인근의 ‘시흥배곧C1호반써밋플레이스’도 5억 9,000만 원으로 4억 원 이상 하락했습니다. 이 외에도 ‘시흥배곧SK뷰’와 ‘호반베르디움센트로하임’의 가격도 각각 4억 원 이상 하락하며,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 거의 반값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집값 하락의 주된 원인은 개발 지연입니다. 시흥시는 서울대병원 등 다양한 개발 사업을 추진했으나, 공사가 지연되면서 기대감이 사라졌습니다. 서울대병원은 800병상 규모의 첨단 의료 시설로 2027년 개원을 목표로 했으나, 현재는 2028년 상반기로 개원 일정이 미뤄졌습니다. 이 병원 설립은 2021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으나, 공사비 문제로 여러 차례 유찰되었고, 사업비가 증액된 후에도 공사 기간이 최소 4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배곧대교와 같은 핵심 개발 사업도 지연되고 있습니다. 이 다리는 시흥시와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연결하는 해상교량으로, 지역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환경단체의 반대와 법적 분쟁으로 인해 사업이 표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발 지연은 지역 상권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상가의 공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상인들은 서울대병원의 조속한 개원을 간절히 바라고 있지만, 공사 지연 소식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배곧신도시의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기 위해서는 개발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개발 기대감이 사그라든 상황에서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 집값 하락세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부 전문가는 최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이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배곧신도시도 개발이 본격화할 경우 반등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배곧신도시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가 필수적입니다. 현재로서는 주민들과 상인들의 고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 지역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국가 경제, 산업, 농축어업, 지방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쇄빙선 아라온호, 왜 단 한 척만 제작되었을까? (0) | 2025.01.27 |
---|---|
2025년 2월, 전국 1만4000여 가구 공급… 분양가 뭉치기 우려 (1) | 2025.01.27 |
송도국제도시 집값 반토막, 김광규의 내 집 마련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 (1) | 2025.01.25 |
대한민국 어업, 어디로 가고 있는가? (0) | 2025.01.22 |
2025년 경매 시장 전망: 기회와 도전이 공존하는 시기 (1)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