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귀환과 머스크의 영향력, 유통·물류 산업이 흔들린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 복귀는 미국 사회 전반에 적지 않은 충격을 안기고 있다. 연방정부 권한 집중, 초고율 관세, 극우 정책의 재등장으로 행정부 운영의 효율성과 대외 신뢰가 흔들리고 있으며, 이는 유통·물류 산업에도 새로운 기준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19세 청년 코리스틴을 국무부 IT 선임고문으로 임명한 사건은 공공 윤리 논란을 촉발했다. 사이버보안 사고 이력이 있는 데다, 아버지가 일론 머스크라는 점에서 특혜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를 “공공 윤리의 붕괴”라고 평가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정부 내에서 ‘비선 대통령’으로 불릴 만큼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탄소포집 기술에 1억 달러를 투자하며 친환경 기술 개발에 앞장섰고, 정부 조직인 ‘정부효율부’를 측근들이 장악하면서 공공과 민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사례를 남기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술 진보라는 이름 아래 공공성이 훼손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머스크의 정책 관여를 “친환경 기술을 앞세운 정경유착”으로 지적하며, 그 정치·경제적 파급력을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는 러시아와의 협상을 통한 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전을 언급하며 국제사회에 파장을 던졌다. 동시에 대중국 견제를 강화하며 인도-태평양 전략을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의 통상정책도 논란의 중심에 있다. 트럼프의 고율 관세 정책은 유아용품부터 반도체까지 타격을 주며 소비자 불만을 증폭시키고 있다. 미국 유아용품 제조협회는 이를 미국 소비 기반을 위협하는 조치라며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단순한 보호무역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 전체를 흔들고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중국을 대체하기 위해 베트남과 인도로 생산기지를 옮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품질과 비용, 전환 기간이 장벽이 되고 있다.

 

포브스는 “중국은 단순한 생산지가 아니라 글로벌 산업생태계의 중심”이라며, 미국의 대체 전략에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의 정책이 오히려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강경 노선은 미국 유통·물류 업계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아마존, 월마트, 페덱스 등 주요 기업들이 공급망 교란과 재고 확보 실패로 운영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정치적 밀착은 산업 정책의 공공성과 방향성을 흔들고 있다. 정경유착은 기술 혁신의 사회적 기여보다 소수 이익을 앞세우며, 산업민주주의의 기반을 위협하고 있다.

 

유통·물류 산업은 이제 단순한 민간 활동을 넘어 국가 전략산업으로 재편되고 있다. 세계은행은 유통 효율성과 물류 인프라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안정적인 정책 환경을 강조했다. 트럼프식 정책 변화는 이를 역행할 가능성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처럼, 고율 관세는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현재 미국이 유사한 경로를 밟는다는 비판이 제기되며, 세계 각국은 이 흐름에 경계심을 높이고 있다.

 

한국도 이러한 글로벌 불확실성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 기술 자립, 공급망 다변화, 디지털 기반의 유통 시스템 강화가 핵심 과제가 되며, 예측 가능한 외교와 산업 정책으로 국내 기업의 리스크를 분산시켜야 할 시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