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관세 문제를 둘러싸고 월마트를 정조준했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월마트가 가격 인상의 책임을 관세에 돌리는 것을 중단하고, 관세 부담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라고 압박했다. 특히 트럼프는 월마트가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며, 소비자에게 가격을 전가하지 말고 중국과 협상해 이익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라고 주장했다.
문제는 트럼프의 이러한 압박이 현실적인 해법이 되기 어렵다는 데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 유통기업인 월마트는 공급망의 상당 부분을 여전히 중국산 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과의 가격 협상을 통해 관세 부담을 흡수하라는 트럼프의 제안은, 구조적인 비용 압박과 글로벌 공급망의 현실을 외면한 것이다. 더군다나 월마트는 이미 수년간 가격 경쟁과 인건비 상승, 공급망 차질 등 다양한 요인에 직면해왔다.
월마트 최고재무책임자(CFO) 존 데이비드 레이니는 최근 인터뷰에서 여전히 높은 관세 부담으로 인해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미중 간 관세율을 일부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미국은 여전히 중국산 제품에 30%에 달하는 높은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가격 상승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더 큰 문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러한 상황의 책임을 개별 기업에만 돌리고 있다는 점이다. 정작 미국의 제조 기반이 약화된 구조적 문제, 그리고 오바마 정부 전후로 본격화된 '중국 제조 왕국' 체제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못한 채, 트럼프는 유통기업에 희생을 요구하고 있다. 즉, 그는 ‘미국 제조업 부활’을 내세우면서도 정작 중국이 글로벌 생산 기지로 부상한 배경을 바꾸지 못했고, 지금도 이를 소비자 가격 문제로만 좁혀 보고 있다.
트럼프는 최근 인터뷰에서 자신이 중국과의 관세 인하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중국은 파탄 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중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발언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역할은 단순한 관세 정책 하나로 붕괴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오히려 미국 내 생산기지를 복원하고, 동남아시아나 중남미 등으로 공급망을 분산하는 실질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중국 의존을 줄일 수 있다.
결국 트럼프의 월마트 압박은 일종의 정치적 제스처에 가까워 보인다. 소비자 가격 인상이라는 단기적 문제를 기업 책임으로만 몰고 가면서, 근본적인 제조 구조의 전환에는 눈을 감고 있다.
미국이 진정으로 중국 의존을 줄이고 제조 경쟁력을 회복하려면, 유통 기업을 압박하기보다는 산업 전략 전반에 걸친 개혁과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 월마트에 대한 트럼프의 요구는 그런 점에서 근본적인 대안을 놓친 채 감정적 대응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유통 산업, 업태, 소비자, 트렌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플러스 사태, 그냥 사고 아니다 – 유통사업은 투기판이 아니다! (2) | 2025.05.20 |
---|---|
트럼프의 귀환과 머스크의 영향력, 유통·물류 산업이 흔들린다 (7) | 2025.05.16 |
“맥도날드, 가격 올린 대가? 소비자는 떠나고 실적은 휘청” (6) | 2025.05.14 |
"대형마트에서 회가 불티! 물가 상승에 '갓성비' 회가 대세“ (2) | 2025.05.14 |
고물가 시대, ‘가성비’로 승부…GS25 리얼프라이스 닭가슴살의 반전 성공기 (0)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