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사업 인수로 반도체 판도 변화 예고

SK하이닉스가 미국 인텔의 낸드플래시 사업부 인수를 최종 마무리했습니다.

총 인수 금액은 90억 달러, 한화로 약 11조 1205억 원에 달하며, 이는 단일 건으로는 국내 인수합병(M&A) 역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2020년 10월 인수 계약 체결 이후 약 2년 5개월 만에 모든 절차를 완료한 SK하이닉스는 이제 인텔의 낸드 자산을 전부 품게 되었습니다.

이번 인수의 주요 대상은 인텔의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사업 부문과 낸드 단품, 웨이퍼 비즈니스, 중국 다롄 생산시설 등 낸드 사업 전반입니다. 

SK하이닉스는 2021년 말, 1차로 약 7조 8422억 원을 납부하고 SSD 사업부와 다롄 공장을 자회사 ‘솔리다임(Solidigm)’을 통해 먼저 인수했습니다. 이후 잔여 금액을 납부하면서 지식재산권(IP)과 인력 등 남은 자산까지 모두 넘겨받았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SK하이닉스는 DRAM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SSD를 포함한 낸드 사업 경쟁력을 본격적으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인텔이 보유한 고급 낸드 기술과 SK하이닉스의 생산 역량이 결합되면, 고부가가치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는 물론 메모리 반도체 전반의 균형 있는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인텔의 낸드 기술을 빠르게 흡수하고 자사 기술과 통합하면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SSD 솔루션 경쟁력과 낸드플래시 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M&A는 단순한 몸집 불리기를 넘어, SK하이닉스의 사업 전략 전환을 알리는 분기점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수는 완료되었지만, 인텔 자산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최근 정기 주주총회에서 “2차 클로징이 3월에 완료되면 인텔 공장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도 완성될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인수가 SK하이닉스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안겨줄 것으로 보고 있으며, 글로벌 낸드 시장에서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좁히고 메모리 반도체 전반에서 존재감을 키울 수 있는 ‘판 뒤집기’ 카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11조 원 규모의 빅딜이 향후 어떤 성과로 이어질지, SK하이닉스의 다음 행보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선의의 경쟁이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 차원 더 높이게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두 회사의 파이팅을 기대하며, 앞으로의 발전을 응원합니다!

반응형